9월 172012
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아래의 게시글을 발견했습니다.
http://www.flickr.com/groups/strobist/discuss/72157607929201242/
기본적으로 플레쉬를 구동하는 동작 전압이 오래된 구형의 플레쉬의 경우 250v도 나오기 때문에, 3.5v 정도의 전압으로 구동되는 반도체 회로에 전원이 역류할 경우 회로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플레쉬에서 역류되는 고전압을 차단하기 위해, 광 회로 분리기(?) 가 들어가고 SCR을 이용해 회로를 구동합니다.
MOC3010는 LED의 빛으로 구동하는 Triac이고, 이 것이 그 왼쪽에 있는 SCR을 구동하여 플레쉬를 구동하는 방식입니다.
상황에 따라선 SCR을 없애고, 바로 Optotriac으로 직접 연결해서 사용해 볼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.
회로의 MOC3010대신 Optocoupler MOC3023를 이용했습니다. 또한 SCR은 C106D를 이용했습니다. 모두 최대 전악 400V 까지 수용가능하기 때문에, 오래된 플레쉬라도 회로의 파괴 없이 붙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.